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는 1999년 일본에서 발매된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전작들과 같이 아케이드성을 강조했다. 플레이어는 다양한 기체를 조종하여 임무를 수행하며, 일본판은 52개의 미션, 분기별 스토리, 5개의 엔딩 등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했으나, 국제판에서는 36개의 미션만 제공되어 스토리와 콘텐츠가 대폭 축소되었다. 게임플레이는 우주 공간에서의 전투, 360도 카메라 회전 등 새로운 메커니즘을 추가했으며, 기체마다 특성이 다른 기총과 미사일의 선택, 미션 분기, 시점 조작 등 다양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스토리는 2040년 가상의 세계 스트레인지리얼을 배경으로, 다국적 기업 간의 갈등과 전뇌화 기술을 둘러싼 이야기를 다루며,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스토리가 분기되어 다양한 엔딩을 볼 수 있다. 게임은 일본판과 국제판의 평가가 엇갈리며, 일본판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국제판은 콘텐츠 삭제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이스 컴뱃 - 에이스 컴뱃 7: 스카이즈 언노운
에이스 컴뱃 7: 스카이즈 언노운은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에서 개발하고 배급한 비행 슈팅 액션 게임으로, 스트레인지리얼 세계관에서 오시아 연방과 에루지아 왕국 간의 갈등을 배경으로 다양한 항공기를 조종해 공중전을 펼치며, 언리얼 엔진 4를 사용하여 현실적인 그래픽과 기상 현상을 구현하고 VR 모드와 DLC로 확장된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 - 에이스 컴뱃 - 유지아
유지아 대륙은 스트레인지리얼 세계관에서 오시아 대륙과 베루사 대륙 사이에 위치하며, 갈등과 외부 간섭, 율리시스 소행성 충돌 등으로 역사적으로 무력 분쟁이 잦았던 지역이다. - 전투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 스틸 탈론즈
1991년 아케이드로 출시된 헬리콥터 슈팅 게임 스틸 탈론즈는 다양한 무기를 사용해 싱글, 협동, 경쟁 플레이를 지원하며, 상업적 성공과 함께 그래픽, 현실적인 비행 모델, 스릴 넘치는 게임 플레이 등으로 호평받았다. - 전투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 에이스 컴뱃
에이스 컴뱃은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에서 개발한 3D 플라이트 슈팅 게임 시리즈로, 가상의 세계 '스트레인지리얼'을 배경으로 현실적인 전투기와 호쾌한 액션을 특징으로 한다.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 |
원제 |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 (일본어: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
개발사 | 남코 |
유통사 | 남코 (일본, 북미)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유럽 (유럽) |
디렉터 | 이와사키 타쿠야 시오자와 아츠시 |
프로듀서 | 후카와 타카시 |
작곡가 | 나카니시 테츠카즈 오쿠보 히로시 시이나 고우 나카가와 코지 카키노 카나코 |
출시일 | 일본: 1999년 5월 27일 유럽: 2000년 1월 21일 북미: 2000년 3월 7일 |
장르 | 에어 컴뱃 시뮬레이션 |
시리즈 | 에이스 컴뱃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
추가 정보 | |
미디어 | 플레이스테이션용 CD-ROM 2장 |
지원 장치 | 남코제 네지콘 아날로그 조이스틱 듀얼쇼크 |
판매량 | 116.4만 장 (출하 수) |
기타 | 초회 한정판에만 핀 배지 동봉 염가판에는 포토스피어 미포함 패미통 실버 전당 입성 |
![]() |
2. 게임플레이
2010년대부터 제너럴 리소스를 비롯한 다국적 기업들이 급성장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었다. 국가 간 분쟁은 줄었지만, 대신 기업 간 분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49]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는 비행 시뮬레이션 비디오 게임으로,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아케이드성을 강조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플레이어는 UPEO를 비롯한 4개의 세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23대의 항공기 중 하나를 조종하며, 적 부대 파괴, 기지 방어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2]
일본판에서는 52개의 미션과 분기별 스토리 경로, 5개의 엔딩을 제공하며, 게임 내 백과사전,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비디오 이메일 등의 추가 콘텐츠가 있다.[16][3] 특히, 게임의 특정 부분에서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스토리가 변경되어 5개의 다른 엔딩으로 이어진다.[47] 5개의 엔딩을 모두 보면 미션 시뮬레이터 모드가 해금되어 원하는 항공기와 무기로 모든 미션을 다시 플레이할 수 있다.[30]
국제판에서는 36개의 미션만 제공되며, UPEO 세력에 고정된다. 미션 내용 자체는 일본판과 동일하지만, 분기별 스토리, 추가 콘텐츠 등은 제공되지 않는다.
핵심 게임플레이에 우주 공간에서의 전투, 360도 카메라 회전 등의 새로운 메커니즘이 추가되었다.[2] 또한, 항공기의 에너지 보존에 더 큰 현실성이 적용되어, 플레이어는 속도를 잃고 실속에 빠지지 않도록 급격한 회전이나 가파른 상승을 피해야 했다. 미션 후에는 리플레이 기능을 제공하여 자신의 비행을 다시 볼 수 있다.
3. 줄거리
2040년, 유지아 대륙의 거대 연방 국가 "USEA"는 제너럴 리소스의 사실상 신탁 통치령이 되었고, 제너럴 리소스와 신흥 기업 뉴컴은 경쟁하며 군사적 충돌 직전까지 갔다. 신 국제 연합 공동체(NUN)의 치안 유지 기구 "UPEO"의 특별 항공 부대 SARF 소속 파일럿인 주인공(플레이어)은 동료들과 함께 이 분쟁과 인류의 전뇌화를 둘러싼 싸움에 휘말린다.[49]
기존 시리즈와 달리 작전 보수, 기체 구매/판매 시스템이 삭제되고, 이야기 속에 전투가 포함되며, 캐릭터와의 대화는 애니메이션으로 묘사된다.[49] 플레이어는 소속 조직과 시나리오에 따라 주어지는 기체 중 하나를 선택하며, 전투 중에도 결단을 내려 이야기가 분기되어 다양한 엔딩을 보게 된다.[49]
기체별 기총/미사일 선택, 작전 중 미션 업데이트, 이착륙/공중 급유 조작, 전투 결과에 따른 시나리오 분기, 미션 클리어 랭크, 시점 조작, 자동 시점 맞춤 등 다양한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모든 시나리오를 클리어하면 이야기의 전체상이 드러나며, 가상의 OS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중 세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50]
세계화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부상, 국가 붕괴, 기업 간 대립, 매스 미디어, 인터넷, 전뇌화, AI 등 철저하게 구축된 세계관과 애니메이션을 통해 SF적인 전쟁을 체험할 수 있다.
3. 1. 배경 설정
''에이스 컴뱃 3''는 지구와는 완전히 다른 국가, 지리, 역사를 가진 시리즈의 가상 세계인 스트레인지리얼을 배경으로 한다. 특히, ''에이스 컴뱃 3''는 스트레인지리얼의 부분적으로 비공식적인 사이버펑크 근미래를 배경으로 하며, 세계 각국의 정부는 거대한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힘을 가진 다국적 기업 거대 기업에 의해 실질적으로 대체되었다.[49] 이때, 제너럴 리소스 리미티드(General Resource Limited)와 뉴컴 인코포레이티드(Neucom Incorporated)(국제판에서는 "뉴워크" Neuwork)는 "초강대국"으로 불릴정도로 성장했다. 두 거대 기업은 유시아 대륙에서 치열한 권력 투쟁을 벌이다가 2040년에 서로에게 직접적인 기업 전쟁을 선포했고, 이는 영향력이 약화된 국제 평화 유지군인 유니버설 평화 집행 기구(UPEO)가 기업 간의 전쟁이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응하도록 촉구했다.[49]
2040년 스트레인지리얼의 주요 부분은 인터넷의 허구적 버전인 "일렉트로스피어"이다. 2030년대에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정신 업로드가 일렉트로스피어에서 가능해지면서 트랜스휴머니즘이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인류가 일렉트로스피어에 의식을 업로드하여 새로운 존재의 차원으로 승천할 수 있다고 믿는, 비행선 스피르나(Sphyrna)를 근거지로 하는 트랜스휴머니스트 테러리스트 그룹인 우로보로스(Ouroboros)가 등장했다.[49]
2010년대에 급격한 성장을 시작한 "제너럴 리소스"를 비롯한 국가를 초월하는 규모를 가진 거대 다국적 기업체의 대두로 인해, 국가라는 틀이 의미를 잃은 세계가 되었다. 국가를 능가하는 힘을 가진 다국적 기업의 대두로 인해 국가가 형해화되면서 국가 간 분쟁은 감소했지만, 대신 다국적 기업체 간에 기업 간 분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49]
2040년, 유지아 대륙 전역을 영토로 하고 있지만, 지금은 제너럴 리소스의 사실상의 신탁 통치령이 된 거대 연방 국가 "USEA"에서는, 제너럴 리소스와 신흥 기업 "뉴컴"의 두 세계적 기업이 경쟁하며, 양사가 옹호하는 사설 군사 조직 간의 군사 충돌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었다. 기업으로부터 전면적인 지원을 받는 약소 세력에 불과하지만, 명목상 양사를 조율하는 입장에 있는 신 국제 연합 공동체(NUN)의 치안 유지 대책 기구 "UPEO"가 옹호하는 특별 항공 부대 SARF에 소속된 전투기 파일럿인 주인공(플레이어)은, 마찬가지로 SARF의 멤버인 레나, 피, 에릭 등과 함께, 제너럴과 뉴컴의 대립, 그리고 인류의 전뇌화를 둘러싼 싸움에 휘말려 들어간다.[49]
3. 2. 일본판 줄거리
2040년, 유지아 대륙은 국가를 초월하는 거대 다국적 기업들의 영향으로 국가의 의미가 퇴색된 세계였다. 거대 연방 국가 "USEA"는 제너럴 리소스의 사실상 신탁 통치령이 되었고, 제너럴 리소스와 신흥 기업 "뉴컴"은 치열하게 경쟁했다. 이 두 기업은 각각 사설 군사 조직을 보유하여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 국제 연합 공동체(NUN)의 치안 유지 대책 기구 "UPEO"는 특별 항공 부대 SARF를 운영했다. 주인공(플레이어)은 SARF의 전투기 파일럿으로, 동료 레나, 피, 에릭 등과 함께 제너럴 리소스와 뉴컴 간의 분쟁, 그리고 인류의 전뇌화를 둘러싼 싸움에 휘말리게 된다.[4]
플레이어는 UPEO 소속 파일럿 '네모'로서 이야기에 참여한다. 네모는 제너럴 리소스와 뉴컴 간의 분쟁에 휘말리며,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제너럴 리소스, 뉴컴, 또는 우로보로스 등 다양한 세력에 합류하거나 대립하게 된다. 이야기는 5개의 서로 다른 엔딩으로 이어진다.[4]
모든 엔딩을 완료하면, 네모가 사실 AI이며 시뮬레이션 속에서 전투를 벌여왔다는 진실이 밝혀진다.[4]
3. 3. 국제판 줄거리
개발상의 제약으로 인해, 《에이스 컴뱃 3》의 국제판 줄거리는 대폭 축소되어 등장인물, 배경, 다중 엔딩이 삭제되었다. 일본판에 있던 음성 연기와 애니메이션 컷신 대부분이 빠졌으며, 게임 외적인 스토리 요소는 주요 미션 사이에 텍스트 슬라이드 쇼를 통해 전달되었다.[49]
UPEO 소속 인간 파일럿 네모는 제너럴 리소스에 대한 뉴워크의 공격을 격퇴하기 위해 출격한다. 결국, 오로보로스가 분쟁을 일으켰으며, 뉴워크가 개발한 "오로라"라는 코드명의 불량 AI가 배후에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네모는 일렉트로스피어 내에서 오로라와 싸워 격파함으로써 위협과 전쟁 자체를 종식시킨다.
4. 개발
《에이스 컴뱃》과 《에이스 컴뱃 2》의 성공 이후, 1998년에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와사키 타쿠야와 아츠시가 감독을 맡고, 후카와 타카시가 프로듀서를 맡아, 《에이스 컴뱃 2》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남코 직원들로 구성된 팀을 이끌었다. 감독들은 세 번째 작품을 이전 작품들보다 내용과 연출 면에서 더 야심차게 만들고자 했다.[5][6]
팀은 스토리라인을 핵심 요소로 만들어, 플레이어의 진행 상황과 결정에 따라 게임 플레이가 변화하고 영향을 받도록 했다. 이전 《에이스 컴뱃》 게임들의 스토리라인은 중요하지 않게 여겨졌고, 게임 플레이 자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정은 스토리가 게임의 필수적인 부분처럼 느껴지고 실제적인 목적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다.[6] 드라마와 게임 《R4: Ridge Racer Type 4》(1998)가 이 아이디어의 영감이 되었다.[6]
개발 과정에서 팀은 《일렉트로스피어》를 다른 전투 비행 시뮬레이터와 시각적으로 구별하고 새로운 기술적 혁신을 창조하기 위해 노력했다.[5] 이는 게임의 미래 지향적이고 과학 소설적인 배경과 세계로 이어졌으며, 1970년대 도시 디자인과 현대 건축을 결합하여 만들어졌다.[5][6] 개발자들은 게임의 기반으로 《에이스 컴뱃 2》를 사용했고, 그 결과 《일렉트로스피어》는 많은 아이디어와 콘셉트를 차용했다.[6]
플레이스테이션의 하드웨어적 제약과 팀의 제한된 기술은 그들의 비전과 세계 구현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했다.[5] 콘솔은 맵의 크기 때문에 맵을 렌더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로 인해 게임 프로그래밍이 어려워졌다. 프로그래머 나카노 겐지는 2개월에 걸쳐 구현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는데, 멀리 떨어진 객체는 가까이 있는 객체보다 훨씬 적은 폴리곤으로 렌더링하는 방식이었다.[6]
컷신 애니메이션은 프로덕션 I.G에서 제공했으며, 어두운 그림자와 대비되는 선이 특징이었다. 시간의 흐름을 느끼게 하기 위해 낮에서 밤으로 바뀌는 주기가 구현되었다.[6] 아케이드 게임 《테크노 드라이브》에 참여했던 그래픽 디자이너 사시다 미노루가 게임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했다.[7]
이전에 《에이스 컴뱃 2》에 곡을 제공했던 나카니시 테츠카즈가 《일렉트로스피어》의 수석 작곡가이자 사운드 디렉터를 맡았으며, 테크노 및 일렉트로니카 사운드트랙을 특징으로 한다. 이전 게임들은 대부분 펑크 록과 유사한 경쾌하고 멜로디컬한 음악을 특징으로 했지만,[8] 사운드트랙은 멜로디 요소보다 사운드 디자인에 더 중점을 두었으며, 나카니시는 이것이 게임의 분위기와 디자인에 더 적합하다고 느꼈다. 게임의 다른 곡들은 나카가와 코지, 카키노 카나코, 오쿠보 히로시, 시이나 고가 작곡했으며, 타츠타 토모코도 한 곡을 제공했다. 카키노는 사운드 방향을 유지하면서 자연과 삶을 표현하기 위해 그녀의 곡에 월드 뮤직 요소를 통합했다.[9] 시이나는 그의 곡에 아르페지에이터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는데, 그는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즐거웠다고 말했다.[10] 2024년 5월 27일, 게임 25주년을 기념하여 《에이스 컴뱃 3》 사운드트랙의 리마스터 버전이 스트리밍 플랫폼에 출시되었다.[11]
20세기 마지막 에이스 컴뱃 시리즈 작품으로, 약 9개월 후에 PlayStation 2가 발매될 시점에 발매되었다. 초대 플레이스테이션에서는 시리즈 최종 작품이 되었으며, 하드웨어 스펙을 최대한 활용하여, 발매 당시로서는 호화로운 동영상을 다용한 연출과 사실적인 그래픽을 실현했다.
5. 출시
ナムコ|남코일본어는 1998년 8월에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를 발표했다.[12] 그 해 도쿄 게임 쇼에서 간략하게 언급되었으나, 회사는 게임에 대해 말을 아꼈다. 11월에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비디오 게임 출판사에 컨셉 아트워크를 공개하면서 이러한 침묵을 깼다.[12] 단 하나의 레벨과 몇몇 항공기만 공개되었고, 남코는 1999년 상반기에 일본에서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12] 릿지 레이서 타입 4 일본판 출시에 맞춰 보너스 디스크로 게임의 짧은 비디오 영상 샘플이 제공되었다.[13] 패미통은 1999년 1월에 게임이 대략 80% 완성되었다고 보도했다.[14] 1999년 도쿄 게임 쇼에서 ''월드 스타디움 3'', ''드래곤 발로르'', 드림캐스트판 ''소울칼리버''와 함께 ''일렉트로스피어''를 시연했으며, 남코 부스의 대부분을 차지했다.[15]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는 1999년 5월 27일 일본에서 남코에 의해 출시되었다.[30] 게임은 두 개의 디스크로 나뉘어 총 52개의 미션이 제공되었다.[16] 26페이지 분량의 설명서와 함께, 게임의 캐릭터, 항공기, 스토리라인 및 가상 세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30페이지 분량의 홍보 책자인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 - 포트폴리오 포토스피어''가 포함되었다.[17] 게임의 전체 사운드트랙과 보충 스토리 영상, 미션 시뮬레이터 모드에 접근할 수 있는 '데드카피' 세이브 파일을 포함하는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 다이렉트 오디오 위드 아펜디스크''(''부록''과 ''디스크''의 혼성어)도 출시되었다.[18] 2000년 12월 7일, PlayStation the Best라는 저가 타이틀로 일본에서 재출시되었다.[30]
북미 출시를 위해 남코 호메텍은 모든 캐릭터를 제거하고 원래 스토리라인을 크게 변경하여 기업 간의 갈등만 남겼다. ''일렉트로스피어''는 2000년 1월 21일 유럽에서,[19] 3월 7일 북미에서 출시되었다.[1]
5. 1. 현지화 문제
일본판과 달리 국제판에서는 스토리, 등장인물, 다중 엔딩 등 많은 요소가 삭제되어 팬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는 번역 예산 삭감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로 알려져 있다.[16][20]프로그네이션(Frognation)이라는 일본의 더빙 회사가 현지화 과정에 참여했다. 그들은 ''메탈 기어 솔리드 2: 선즈 오브 리버티''와 ''D2''와 같은 게임에서 번역 작업으로 유명한 아그네스 카쿠(Agness Kaku)에게 게임 번역을 의뢰했다. 그녀는 원래 일본어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데모 번역을 했지만, 자금 지원이 삭감되면서 남코 아메리카(Namco America)는 번역을 완전히 폐기하고 해외 관객을 위해 줄거리를 완전히 다시 만들기로 결정했다. 여기에는 여러 엔딩, 분기별 스토리 경로, 그리고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미션이 삭제되는 것이 포함되었다. 자금 삭감에 대한 공식적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카쿠는 일본에서 남코가 기대한 만큼 게임이 잘 팔리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 지사에서도 성공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16][20]
남코는 1999년 전자 엔터테인먼트 엑스포 (E3) 박람회에서 게임을 선보였으며,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1] 번역 자금 지원이 삭감되기 전, 남코는 이미 게임의 상호 연결된 스토리라인을 광고하기 시작했다.[20] 카쿠에 따르면, 남코가 미국판이 대폭 삭감되어 원래 일본어 스토리라인이 생략될 것이라고 발표했을 때, 팬과 언론으로부터 거센 반발을 샀고, 게임이 출시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심각하게 감소했다고 한다.[20]
2000년 6월, 게임의 다섯 가지 루트 중 대부분을 다루는 텍스트 형식의 팬 번역이 ''GameFAQS''에 업로드되었다.[22] 2009년에는 "프로젝트 니모(Project NEMO)"라는 팬 번역 팀이 52개 미션 전체에 대한 텍스트 형식의 영어 번역 작업을 시작하여 2010년 중반에 완료했다. 2016년 12월, 같은 팀은 게임의 스토리를 번역한 패치를 공개했다.[23] 2024년 1월 1일에는 [https://useatoday.blogspot.com/2020/12/screenplay-dai-sat-o-animation.html 업데이트]가 게시되었다.[24]
2010년대 후반부터 팬 번역 프로젝트를 통해 일본어판의 완전한 스토리가 영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으로 번역되었다. 2021년 12월, "로드 워드 팀(Load Word Team)"이라는 현지화 그룹이 게임을 이탈리아어로 번역했다. 이후 2023년 5월 27일, 같은 팀은 영어 및 스페인어로 번역을 완료했다.
6. 등장인물
이름 | 성우 | 출생 | 소속 | 설명 |
---|---|---|---|---|
아비설 디죵 | 에하라 마사시 | 1997년 10월 10일[65] | 제너럴 리소스, 우로보로스 | 2018년 샌드밸리 GR 방위대학교 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제너럴 리소스에 입사하여 GRDF 파일럿으로 배속되었다. 2026년 테러 진압 작전에서의 공적으로 GRDF 대장으로 임명되었으며, 40세를 넘어서도 일선에서 활약하고 있다. GRDF 대장으로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등 파일럿 이상의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성격은 침착하고 냉정하며, 실전 경험이 풍부한 GRDF 파일럿들 사이에서 깊은 신뢰를 받고 있다. 한편으로는 심오한 계략에 능하여, 실력을 인정받은 플레이어에게 작전 비행 중 노골적으로 GRDF로 전향을 권유하거나, 상부의 허가 없이 독단적인 작전 행동을 하는 등, 오랜 지인인 키스조차도 그의 진의를 파악하기 어려워한다. 주인공과 처음 만났을 때는 검은색 F-15S/MT "Eagle+"를 전용기로 사용하지만, 게임 중반 이후에는 같은 검은색 F-22C "Raptor"로 기체를 변경한다. 우로보로스 결성 이후에는 극비리에 보관되어 있던 초고성능 전투기 "UI-4054 오로라"를 인수하여 탑승한다. 요코와는 과거 연애 관계였으며, 그녀의 연구에 피험자로서 협력했다.[65] |
키스 브라이언 | 나카무라 다이키 | 2010년 5월 19일[66] | 제너럴 리소스 | 2028년 샌드밸리 GR 방위대학교 부속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제너럴 리소스에 입사. 디죵과의 팀에서는 주로 전투 공격기에 탑승하여, 제공 전투기를 타는 디죵을 백업한다. 디죵과는 오래된 사이로, 그와 대등하게 이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그의 조종 실력을 인정받은 몇 안 되는 인물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디죵과 데이터 스왈로를 통해서만 소통할 기회가 전무하여, 약간의 외로움을 느끼고 있다. 스토리 진행에 따라 GRDF에서 함께 싸우게 되는 플레이어를 처음에는 무시하지만, 나중에는 "파트너"로 인정한다. 의외로 고전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전뇌화에 대해서는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때문에 전 인류의 전뇌화를 내건 우로보로스, 나아가 디죵과의 대립의 길을 걷게 된다.[66] |
요코 마사 이노우에 | 타마가와 사키코 | 1999년 9월 3일[67] | 제너럴 리소스 | 2025년 악셀 대학 대학원 뇌생리학 연구과의 박사 과정을 수료. 같은 해 제너럴 리소스에 입사하여, 2028년부터 시작된 DOE 계획에 참여하여, 서브리메이션의 기초 이론을 구축한다.[67][68] 디죵과 연애 관계에 있었으나, 2030년, 전뇌화 실험을 위험시한 제너럴 상층부가 그녀가 있던 연구 시설에 특수 공작 부대를 파견, 사고로 위장한 폭파 공작을 벌여 사망한다. 향년 30세.[67][69] 오리지널 디죵 외에 디죵이 전뇌화되었다는 것을 아는 유일한 인물이었다. 오리지널 디죵과 그녀가 폭파 공작에 휘말려 사망함으로써, 일렉트로스피어 상에 복사된 디죵은 자신의 실제 모습을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을 잃고, 그 성격을 왜곡시켜 간다.[69][70] |
알데아 카를로스 나시멘토 | 1964년 7월 21일[71] | 제너럴 리소스 | 1989년 페이지 대학 경제학부 졸업.[71] 제너럴 리소스의 진정한 실력자이며, 사내에서 실각할 뻔한 파크를 UPEO로 보내는 등, 다양한 책략에 관여하고 있다. 심장에 지병을 앓고 있으며, 인공 심장을 포함한 여러 차례의 이식 수술을 받았다. 게임 도중, 파크와 디죵의 모략에 의한 해킹으로 인공 심장에 오작동이 발생하여 급사했다. 향년 75세.[72][73] |
6. 1. UPEO
파일럿인 레나 히로세가 UPEO에 소속되어 있으며, 이들은 Neucom의 비행 금지 구역 침입에 대응한다.[4] UPEO는 제너럴 리소스를 지원한다고 비난받으며, Neucom은 제너럴 리소스에 대한 선제 공격을 시작하여 기업 간 전쟁이 발발한다.[4]네모는 전투 준비를 위해 제너럴 리소스의 최고 에이스인 아비설 디죵에게 공중 훈련을 받는다.[4] 이후 임무에서 네모의 실력에 감탄한 디죵은 네모에게 제너럴 리소스로 전향할 것을 권한다.[4] 네모가 UPEO에 남으면, Neucom에 반격하는 제너럴 리소스와 싸우게 된다.[4]
네모는 UPEO 대표인 가브리엘 윌리엄 클락슨이 휴전을 중재하기 위한 회의에 참석하도록 호위하는데, 길버트 파크 사령관은 갑자기 클락슨이 Neucom의 스파이라고 주장하며 네모에게 클락슨의 비행기를 격추하라고 명령한다.[4] 네모가 비행기를 살려두면 Neucom은 클락슨을 보호하며, 네모는 Neucom에 합류한다.[4] 네모 또는 레나가 클락슨을 죽이면 UPEO에 남는다.[4]
이 갈등은 아비설 디죵이 이끄는 우로보로스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밝혀진다.[4] 길버트 파크 사령관 또한 SARF를 이용하여 갈등을 부추긴 우로보로스의 일원임이 드러난다.[4] 네모가 UPEO에서 전향하지 않으면 SARF는 UPEO에서 이탈하고, 네모는 디죵에게 세뇌되어 최첨단 시제기 Night Raven을 조종하게 된 박 사령관과 레나를 격파한다.[4] 네모는 일렉트로스피어 자체에서 디죵과 싸워 그를 물리치고 갈등을 완전히 종식시킨다.[4]
6. 2. 제너럴 리소스
Abyssal Dision영어: 성우 - 에하라 마사시
: 1997년 10월 10일 출생[65]。GRDF 대장. 콜사인은 ABYSS.
: 2018년에 샌드밸리 GR 방위대학교 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9월부터 제너럴 리소스에 입사하여 GRDF 파일럿으로 배속되었다. 2026년 테러 진압 작전에서의 공적으로 GRDF 대장으로 임명되었으며, 40세를 넘어서도 여전히 일선에서 활약하고 있다. GRDF 대장으로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제너럴 리소스의 의지를 대변하기도 하는 등, 단순한 파일럿 이상의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침착하고 냉정한 성격으로, 실전 경험이 풍부한 GRDF 파일럿들 사이에서도 깊은 신뢰를 받고 있다. 심오한 계략에 능하며, 실력을 인정받은 플레이어에게 작전 비행 중 노골적으로 GRDF로 전향을 권유하거나, 상부의 허가 없이 독단적인 작전 행동을 하는 등, 오랜 지인인 키스조차도 그의 진의를 파악하기 어려워한다. 주인공과 처음 만났을 때는 검은색 F-15S/MT "Eagle+"를 전용기로 사용하지만, 게임 중반 이후에는 같은 검은색 F-22C "Raptor"로 기체를 변경한다. 우로보로스 결성 이후에는 극비리에 보관되어 있던 초고성능 전투기 "UI-4054 오로라"를 인수하여 탑승한다. 요코와는 과거 연애 관계였으며, 그녀의 연구에 피험자로서 협력했다[65]。
: 게임에 등장하는 디죵은 2030년 전뇌화 실험에서 일렉트로스피어에 복제된 의식으로, '''디죵 본인이 아니다.''' 육체의 노화가 없어 40대 이후에도 일선 파일럿으로 남을 수 있었으며, 우로보로스 성명에 따르면 이것이 인류 최초의 전뇌화였다. 2030년 제너럴 상층부는 요코의 전뇌화 연구를 위험하게 여겨 특수 공작 부대를 파견해 연구 시설을 폭파했지만, 요코와 '''오리지널 디죵'''은 해당 연구 시설 내에서 전뇌화 실험 중이었기 때문에 폭파에 휘말려 사망했다. 일렉트로스피어에 복제된 '''디죵의 의식 복사본'''은 자신이 오리지널이라고 믿고, 연구 시설 카메라를 통해 낯선 육체를 가진 디죵과의 연애와 시설 폭파를 목격했다. 이후 자신이 오리지널이라고 믿으며 일렉트로스피어를 이동, 폭파 사고에서 생환한 것처럼 위장했다. 그러나 연구 시설 폭파 후 10년 동안 요코를 잃은 기억, 현실 세계에 모습을 드러낼 수 없고 자신 외에 전뇌화된 인간이 없다는 고독한 상황이 그의 성격을 뒤틀었다. 결국 전 인류를 전뇌화하여 육체로부터 해방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지원자를 모집, 우로보로스를 결성하고 기존 기업에 쿠데타를 일으킨다.
: 어떤 전개에서도 최종적으로 자신이 탑승한 기체가 격파되고 인격 데이터가 파괴된다. 일렉트로스피어 전투 시 "너는, 사이먼이었던가" 등의 유언은 진정한 엔딩으로 가는 복선이 된다.
; Keith Bryan영어
: 성우 - 나카무라 다이키
: 2010년 5월 19일 출생. GRDF 전투기 파일럿[66]。콜사인은 MADCAP.
: 2028년 샌드밸리 GR 방위대학교 부속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제너럴 리소스에 입사했다. 디죵과의 팀에서는 주로 전투 공격기에 탑승, 제공 전투기를 타는 디죵을 지원한다. 디죵과 오래 알고 지냈으며, 그와 대등하게 이야기하고 그의 조종 실력을 인정받은 몇 안 되는 인물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디죵과 데이터 스왈로를 통해서만 소통할 기회가 없어 약간의 외로움을 느낀다. 스토리 진행에 따라 GRDF에서 함께 싸우게 되는 플레이어를 처음에는 무시하지만, 나중에는 "파트너"로 인정한다. 고전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 전뇌화를 이해하지 못하며, 전 인류의 전뇌화를 내건 우로보로스 및 디죵과 대립하게 된다[66]。
; Yoko Martha Inoue영어
: 성우 - 타마가와 사키코
: 1999년 9월 3일 출생. 제너럴 리소스 과학자. 2025년 악셀 대학 대학원 뇌생리학 연구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같은 해 제너럴 리소스에 입사, 2028년부터 DOE 계획에 참여하여 서브리메이션 기초 이론을 구축했다[67][68]。
: 디죵과 연애 관계였으나, 2030년 전뇌화 실험을 위험하게 여긴 제너럴 상층부가 연구 시설에 특수 공작 부대를 파견하여 사고로 위장, 폭파 공작으로 사망했다. 향년 30세[67][69]。
: 오리지널 디죵 외에 디죵이 전뇌화되었다는 것을 아는 유일한 인물이었다. 오리지널 디죵과 그녀가 폭파 공작에 휘말려 사망함으로써, 일렉트로스피어에 복사된 디죵은 자신의 실제 모습을 나타낼 수단을 잃고 성격이 왜곡되었다[69][70]。
; Aldair Carlos Nascimento영어
: 1964년 7월 21일 출생. 제너럴 리소스 상무. 1989년 페이지 대학 경제학부 졸업[71]。
: 제너럴 리소스의 실력자로, 사내에서 실각 위기에 처한 파크를 UPEO로 보내는 등 다양한 책략에 관여했다. 심장 지병을 앓고 있어 인공 심장을 포함한 여러 차례 이식 수술을 받았다. 게임 도중 파크와 디죵의 모략에 의한 해킹으로 인공 심장이 오작동, 급사했다. 향년 75세[72][73]。
6. 3. 뉴컴
뉴컴(Neucom inc.)은 근년에 급성장하여 제너럴 리소스와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는 신흥 기업이다. 사명은 신경 세포를 의미하는 뉴런과 컴퓨터를 합친 조어이며, 제너럴 리소스와 마찬가지로 포트 에드워즈에 본사를 두고 있다.[4]재정난으로 민영화된 "정부 우주 관리 기구(EASA)"가 전신이다. 민영화 직후 대형 항공 회사를 흡수 합병한 후, 상층부의 보수적인 방침에 불만을 품은 제너럴 리소스의 기술자들이 이반하여 집단 이적하면서 탄생했다. 현재 뉴컴은 "뉴콤 바이오", "뉴콤 인포", "뉴콤 스피어", "뉴콤 스페이스", "뉴콤 퍼블리싱"의 5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다른 업종으로의 진출도 보인다. 제너럴 리소스에 비해 자유롭고 선진적인 기업 풍토를 가지고 있어, 다수의 우수한 기술자를 모으는 데 성공했다. 특히 바이오·나노 기술 분야나 뛰어난 우주 개발력에 힘입은 정보 통신 분야의 기술력은 제너럴 리소스의 기술력을 크게 웃돌며, 이를 독점적으로 이용하여 강력한 제너럴 리소스의 자본력과 영향력에 대항하고 있다. 그러나, 제너럴 리소스가 보수적·신뢰·이익 제일주의라면, 뉴컴은 선진적·과학 기술 제일주의이며, 비인도적인 연구나 충분한 실증 기간을 거치지 않고 선진 기술을 이용하고, 환경 파괴를 한다는 비난을 언론 등으로부터 받고 있다.[4]
나노 기술, 바이오 기술과 같은 선진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분야, 정보 통신, 우주 개발을 특기로 한다.[4]
UGSF 시리즈에도 은하 연방 우주군에 병기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등장한다. 『릿지 레이서 6』에는 뉴컴이 운행하는 항공기와 일렉트로스피어 등의 간판이, 『릿지 레이서즈 2』에는 새로 추가된 코스 상공을 비행하는 비행선이, 릿지 레이서 7에는 일부 차종의 디자인으로 등장한다.[4]
- 뉴컴의 사업 부문
- 정보 환경 개발 사업부 "뉴콤 인포": 신세대 AI이나 연상 기억 메모리의 개발 등, 컴퓨터 기술의 연구 개발을 담당하며, 일부 기술은 무인 전투기 등의 군사 병기에 응용되고 있다.
- 우주 환경 개발 사업부 "뉴콤 스페이스": 항공 우주 산업을 담당하며, "R 넘버" 시리즈나 "이온 제너레이터" 등의 신기술을 개발했다. 뉴컴의 높은 기술력을 지탱하는 기간 부문 중 하나이다.
- 생명 환경 개발 사업부 "뉴콤 바이오": 바이오·나노 기술을 담당하며, 생화학 연구 사업 외에, 나노 머신을 건축 작업에 응용한 "나노 바이트"의 연구 개발 등도 진행하고 있다.
- 통신 환경 개발 사업부 "뉴콤 스피어": NOC(Network Operation Center) 사업에서 "일렉트로스피어"를 구성하는 지구 규모의 위성 네트워크 시스템까지, 통신 사업 전반을 담당한다.
- 홍보 외무부 "뉴콤 퍼블리싱": 뉴컴의 대외적인 홍보와 외무 교섭 외에, 보도와 출판을 통한 대중 조작 등도 담당한다.
- NVS(Neucom Visual Server): 2033년부터 뉴컴이 시작한 일렉트로스피어 상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로, 업계 최초로 일렉트로스피어라는 미디어를 사용한 방송을 했다. 서비스 개시 초기에는 타 방송국 제작 프로그램을 방송했지만, 최근에는 주로 뉴컴 자체 제작 과학 정보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 NEU(Neucom Emergency Unit): 뉴컴이 소유한 비상 사태 대책 기구로, 원래는 자사와 관련된 사건 사고 등 불측의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경비 부문이었지만, 현재는 주로 제너럴 리소스와의 군사적인 마찰에 대비한 군 조직이 되었다. 배치된 병기에는 뉴컴의 최신 기술이 투입되어 있으며, 유선형을 다용한 유기적 디자인이 특징인 신세대 항공기 "R 넘버" 시리즈를 비롯하여, 대립하는 GRDF 측의 장비를 능가하는 성능의 병기가 배치되어 있다.
- 메가 플로트(Mega Float): 뉴컴이 2039년에 완성한 메가 플로트식 해상 이동 도시이다. 섬 안에는 뉴컴의 연구 시설이나 공장 설비 외에도 민간 시설이 다수 존재하지만, 군항이나 공군 기지 등의 군사 시설이 있어, 실질적으로는 이동 군사 거점으로서 기능한다. 완성 후 얼마 동안은 뉴컴 사원에게만 주거를 판매했다.
7. 용어
; 일렉트로스피어(Electrosphere)
: 제너럴 리소스가 개발한 정보 네트워크 공간이다. "electro(전기적인)"와 "sphere(입자가 모이는 구체)"를 조합한 합성어이다.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전을 촉진했다. 2020년 이후 데이터 스왈로우가 출시되면서 재택근무, 온라인 학습, 원격 존재 등 사람들의 생활에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군사에서는 무기의 원격 조종이나 해킹에 사용되며, 최첨단 기술로는 전뇌화를 통한 정신 전송도 가능하다.[79][80][81]
:(현실 세계의 Web 앱이 성숙한 2010년대 후반 이후의 World Wide Web에 해당한다.)
; 데이터 스왈로우(Data-swallow)
: 제너럴 리소스사가 2032년에 출시한 단말용 OS이다. 일렉트로스피어에 접속하는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다. 에어로코핀에도 대응하여 전투기 제어에도 사용된다. 주요 콘텐츠로는 비디오 폰, 데이터 방송, 문자 방송 등이 있다. 비디오 폰은 녹화 및 다인 동시 통화가 가능하다. 게임 후반에는 장시간 비디오 메시지 전송 기능도 밝혀진다. 출시 후 폭발적으로 보급되어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게임 시작 시점(2040년)의 버전은 "3.2.2"이며, 컴퓨터 바이러스 대응, 언어 번역 기능, 비디오 폰 화상 음성 싱크 및 편집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기동 시 화면은 튜브형 터널과 같은 공간을 나아가는 모습이며, 기동 화면 디자인은 각 진영에 따라 다르다.
:* 제너럴 리소스: 파란색 바탕에 흰색 "G" 로고와 "General Resource LTD" 문구.
:* 뉴컴: 오렌지색 바탕에 "N" 로고와 검은색 "Neucom inc." 문구.
:* UPEO: 세피아색 바탕에 비둘기 로고.
:* 우로보로스: 검은색 바탕에 우로보로스 로고와 회색 바코드 모양 도안.
: 본작에서 브리핑은 데이터 스왈로우 탑재 브라우저 시점으로 이루어지며, 미션 외에는 대부분 이 시점으로 구성된다. 기체 선택 시 "CONNECTED(접속)" 화면을 거쳐 전투기 HUD로 전환된다.
:; 피카붐(Peek-a-boom)
:: 데이터 스왈로우 버전 3.0.1 이후 OS에 대응하는 용어 검색 애플리케이션이다. 키워드를 선택하면 일렉트로스피어 내에서 검색하여 컬러 이미지와 함께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공원은 학술 출판 회사 "글로서리 연구소"이다. (현실 세계의 검색 엔진이나 온라인 백과사전과 유사하다.)
:; 문자 방송
:: 일렉트로스피어를 통해 제공되는 텍스트 데이터 정보 서비스이다. 출시 당시 데이터 스왈로우에 통합되어 있었으나, NVS의 방송 서비스 시작과 함께 이용자가 감소했다. 현재는 이미지도 함께 배포한다. (현실 세계의 RSS, Atom 등과 유사하다.)
; 에어로코핀(Aero-Coffin)
: 이 게임에서 전투기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코핀(Coffin)은 "'''CO'''nnection '''F'''or '''F'''light '''IN'''terface"의 약자로, "신경 연결에 의한 군용 병기 조종 시스템"을 의미한다. 조종사는 외부와 차단된 조종석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나 전주 모니터를 통해 외부를 보며 조종한다. "코핀"은 조종석 시스템 자체를, "에어로코핀"은 이를 사용한 항공기를 지칭한다. 위성 통신망을 이용한 텔레·이그지스턴스로 원격 조종이 가능하나, 공중전에서는 시간 지연 때문에 우수한 파일럿들은 직접 탑승을 선호한다.
: 『5』의 "팔켄"에도 유사한 COFFIN 시스템이 등장하지만, 『3』의 코핀보다 기능이 떨어진다. UGSF 시리즈의 『New Space Order』에서는 더욱 발전된 코핀 시스템이 등장한다. (현실에서는 2010년대에 장갑 조종석이나 신경 연결 기구는 없지만, 기체 전주 영상 표시 및 센서 정보 통합 표시 기능을 갖춘 F-35가 등장했다.)
:; ENSI 규격
:: ENSI는 "Electro-Neuron-Synapce-Interface"의 약자로, 파일럿의 신경 세포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회로의 버스 규격이다. 이를 통해 파일럿은 에어로코핀을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다. 2040년에는 ENSI 규격 케이블을 사용하여 손바닥(또는 손등)의 운동 신경 및 반사 신경 세포 활동을 읽어 기체 컴퓨터와 연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레나는 목덜미에 이식된 인공 광속 신경망(옵토 뉴런)을 사용한 독자적인 ENSI 시스템을 사용한다. UGSF 시리즈의 『New Space Order』에는 ENSI 규격을 발전시킨 "N.B.B.(Navigate By Biosignal)" 규격이 등장한다. (현실 세계의 브레인-머신 인터페이스 기술에 해당하며, 뇌파 판독을 통한 항공기 조종 실험도 진행 중이다.)
; R 넘버
: 뉴컴사 제조 항공기의 통칭으로, 뛰어난 항공 기술력을 상징한다. 형식 번호에 "혁신적"을 의미하는 "Radical"의 머리글자 "R"을 사용한 데서 유래했다. 최신예 기체에는 에너지탄 발사 기총 "펄스 레이저"가 탑재 가능하다.
; 나노바이트(Nano-bite)
: 뉴컴·바이오가 개발한 나노 머신이다.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자기 증식하며 진화한다. 데포르메 캐릭터를 사용한 CM으로 홍보되고 있다. 제조 공정에서 기술적 성력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폭주 시 광범위한 오염 위험이 있어 중화제 "안티 나노바이트 봄"이 존재한다. 우주 개발 및 신세대 에너지로의 이용도 계획되고 있다. UGSF 관련 작품인 『신군 데스트로이!』에 등장하는 R.U.T.Y.는 나노바이트를 개량한 것이다. (2000년대 후반 3D 프린터 특허 만료 후 기술 공개와 경쟁으로 발전하여 건축 분야에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 이온 입자
: 주로 공기 청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입자이다. 도시에는 이온 입자 발생 시설 "이온 제너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정용 제품 "이온 제트"도 있다. (현실 세계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플라즈마 이온 발생기, 플라즈마 클러스터 발생기가 판매되고 있다.)
; 서브리메이션(전뇌화)
: 사람의 인격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사·복제하는 기술이다. "승화, 순화, 이상화"라는 의미를 가진다. 요코·마사·이노우에가 기초 이론을 구축하고 검증하여 데드 카피(복제) 제작까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연구 시설 폭파로 연구가 동결되었다. 뉴컴의 사이먼이 제창하는 자율 사고형 AI 이론도 이와 유사하다.
; P.I.G.
: Programmed Intelligence의 약칭으로, 프로그램된 사고형 인공 지능을 의미한다. 초기 낮은 지능 수준 때문에 과학자들이 "돼지"라고 비꼰 데서 유래했으며, "피기"라는 닉네임으로도 불린다. 비 폰 노이만형 생체 컴퓨터의 등장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의식을 가질 때까지 한 걸음" 남았다는 단계까지 기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인새넷(In-sa-net)
: Inter-Satellite-Network(위성 간 정보망)의 약칭이다. 지상 모든 지점에서 통신 가능한 상호 위성 통신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통신 위성을 매개로 원격지의 적군 움직임을 파악하거나 지상 병기를 원격 조작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상의 프로텍트 때문에 허가 없이는 병기 조작이 불가능하다.
8. 평가
일본판 ''에이스 컴뱃 3: 일렉트로스피어''는 "압도적인" 그래픽, 깊이 있는 스토리, 현실성 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0][39] ''패미통''은 그래픽과 스토리를 높이 평가했고,[30] ''Official Czech PlayStation Magazine''도 미래 지향적인 접근 방식과 개선된 게임 플레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9] ''GameSpot''은 초기 리뷰에서 인물 중심 컷신과 세련된 전투기 디자인을 칭찬했다.[40] ''Edge''는 분기형 스토리라인을 통해 전작보다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27]
반면, 북미 및 유럽 출시 버전은 콘텐츠 삭제와 스토리라인 부재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36][34] 평론가들은 미션 부족과 스토리 부재에 실망감을 나타냈다.[34][36] ''NextGen''은 분기형 레벨 시스템과 추가 캠페인이 없어 지루하다고 평가했다.[36] ''The Electric Playground''는 평범한 컷신에 실망감을 표했다.[29] ''Official UK PlayStation Magazine''은 PC 비행 시뮬레이터에 가깝다고 비판했다.[41]
그러나 ''IGN''과 ''GamePro''는 견고한 게임 플레이를 칭찬했다.[35][42] ''Jeuxvideo.com''은 에이스 컴뱃 2와 동일한 세련됨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43] 평론가들은 공통적으로 그래픽의 디테일을 칭찬했고,[41][36][43][29] ''IGN''은 놀라운 디테일을 강점으로 꼽았으며,[35] ''GamePro''는 현실성과 아케이드 그래픽의 조합을 언급했다.[42] 반응이 빠르고 사용하기 쉬운 컨트롤도 호평을 받았다.[42][43] 사운드트랙,[35][29] 인스턴트 리플레이,[35][29] 슬로우다운 부재[35][42] 역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9]
회고적인 평가에서는 야심찬 디자인과 스토리가 높이 평가되었다. 상업적으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3][20] ''IGN''의 Best of 2000 Awards에서 "슈터" 부문 상을 수상했다.[46]
8. 1. 한국에서의 평가 및 반응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일본어는 대한민국에서는 정식으로 출시되지 않았으나, 일본판을 접한 일부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독특한 세계관과 스토리로 호평을 받았다.[1] 2010년대 후반부터 팬 번역을 통해 원작의 내용이 알려지면서 재조명받고 있으며, 한국 게임 커뮤니티에서도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 일부 유저들은 국제판에서 삭제된 요소들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며, 완전한 스토리와 콘텐츠를 담은 리메이크 또는 리마스터 버전을 희망하기도 한다.[1]참조
[1]
웹사이트
The Games of March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3-11-25
[2]
서적
Ace Combat 3: Electrosphere instruction manual
Namco Hometek
2000-03-07
[3]
웹사이트
Ace Combat 3: l'Evangelion che nessuno conosce
https://www.player.i[...]
2020-08-18
[4]
Youtube
Ace Combat 3's True Ending - All Paths
https://www.youtube.[...]
2024-08-24
[5]
웹사이트
Ace Combat 6: Fires of Liberation (Page 3)
https://www.gamesrad[...]
Future plc
2020-12-19
[6]
웹사이트
ACECOMBAT3 electrosphere
https://www.bandaina[...]
Bandai Namco Entertainment
2020-03-28
[7]
웹사이트
"「ナムコ遺伝子」を継ぐ者が大集結! 30年前の受付ロボ復活劇"
https://www.itmedia.[...]
2020-07-26
[8]
웹사이트
Ace Combat 3 -Electrosphere- Original Soundtrack
http://www.vgmonline[...]
2012-08-01
[9]
CD
ACE COMBAT 3 ELECTROSPHERE : DIRECT AUDIO
1999-08-26
[1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Go Shiina (November 2009)
http://squareenixmus[...]
Square Enix Music Online
2009-12-02
[11]
웹사이트
"「ACE COMBAT 3」サウンドトラック 新規マスタリング音源で配信! – gamemusic.bn-ent.net"
https://gamemusic.bn[...]
2024-08-20
[12]
웹사이트
First Look: Ace Combat 3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0-03-18
[13]
웹사이트
Combat Footage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0-03-18
[14]
웹사이트
An Ace of a View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0-03-18
[15]
웹사이트
TGS: Namco's Offering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0-03-18
[16]
웹사이트
Ace Combat Games Ranked From Best to Worst
https://www.gamerevo[...]
Evolve Media
2023-11-25
[17]
웹사이트
"『 Ace Combat 3: Electrosphere /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
https://templator.bl[...]
2020-04-27
[18]
웹사이트
Direct Audio with AppenDisc (overview)
https://useatoday.bl[...]
2024-10-08
[19]
웹사이트
Ace Combat 3
http://www.scee.pres[...]
2020-03-18
[20]
웹사이트
Commercial Writing -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www.hibernium[...]
2020-03-18
[21]
웹사이트
Ace Combat 3 (Preview)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0-03-18
[22]
웹사이트
Ace Combat 3: Electrosphere - Search Engine Info and Missions
https://gamefaqs.gam[...]
Fandom
2023-11-25
[23]
웹사이트
AC3e IE Discs 2/2 《 Heaven and Earth 》
https://useatoday.bl[...]
2023-11-25
[24]
웹사이트
Wanna play a game of Simon Says?
https://www.romhacki[...]
2023-11-25
[25]
웹사이트
Ace Combat 3: Electrosphere for PlayStation
https://www.gamerank[...]
CBS Interactive
2023-11-25
[26]
웹사이트
Ace Combat 3: Electrosphere - Review
http://www.allgame.c[...]
All Media Network
2023-11-25
[27]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JP Import]
https://retrocdn.net[...]
Future Publishing
2023-11-25
[28]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s://retrocdn.net[...]
Ziff Davis
2023-11-26
[29]
웹사이트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www.elecplay.[...]
Greedy Productions Ltd.
2023-11-25
[30]
간행물
プレイステーション -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20-03-18
[31]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FuncoLand
2000-05
[32]
간행물
REVIEW for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www.gamefan.c[...]
Shinno Media
2023-11-26
[33]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JP Import]
https://archive.org/[...]
Shinno Media
2023-11-26
[34]
웹사이트
Ace Combat 3: Electrosphere Review [JP Import]
https://www.gamespot[...]
Fandom
2023-11-25
[35]
웹사이트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3-11-25
[36]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s://archive.org/[...]
Future US
2000-04
[37]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s://archive.org/[...]
Ziff Davis
2000-04
[38]
뉴스
Ace Combat 3 - Electrosphere
http://www.smh.com.a[...]
Fairfax Media
2022-03-27
[39]
간행물
Let A Boj
https://archive.org/[...]
Art Consulting, Inc.
1999-07
[40]
웹사이트
Hands-on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s://www.gamespot[...]
Fandom
1999-06-02
[41]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s://archive.org/[...]
Future Publishing
2000-02
[42]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Review for PlayStation
http://www.gamepro.c[...]
IDG
2000-03-22
[43]
웹사이트
Test : Ace Combat 3
https://www.jeuxvide[...]
Webedia
2000-03-22
[44]
간행물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s://retrocdn.net[...]
IDG
2000-04
[45]
웹사이트
『エースコンバット』シリーズ全世界累計1,000万本突破!
https://www.acecomba[...]
2021-01-25
[46]
웹사이트
PSX Best of 2000: Shooter
http://psx.ign.com/n[...]
Snowball.com
2001-01-30
[47]
웹사이트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発売20周年!フライトSTGに本格SFストーリーを導入し物議を醸した異色作に迫る【特集】
https://www.gamespar[...]
IID, Inc.
2019-06-01
[4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49]
서적
電撃王
メディアワークス
1999-07-01
[50]
문서
해설서にて
[51]
웹사이트
https://www.bandaina[...]
[52]
웹사이트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本日5月27日で20周年─シリーズ作では異色ながらも、近未来を描く手法と先見性は完成度高し!
https://www.inside-g[...]
2020-03-14
[53]
웹사이트
『エースコンバット』25周年記念座談会。5人のクリエイター陣が語る『ACE』シリーズのこれまでとこれから
https://www.famitsu.[...]
ファミ通.com
2021-01-23
[54]
웹사이트
『エースコンバット』シリーズ25周年記念インタビュー!波乱に満ちたシリーズをいまこそ振り返ろう【前編:初代~『ZERO』】
https://www.gamespar[...]
2021-01-22
[55]
웹사이트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発売20周年!フライトSTGに本格SFストーリーを導入し物議を醸した異色作に迫る【特集】
https://www.gamespar[...]
2019-11-04
[56]
웹사이트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発売20周年!フライトSTGに本格SFストーリーを導入し物議を醸した異色作に迫る【特集】
https://www.gamespar[...]
2020-03-14
[57]
웹사이트
ミッションアウェクニング4
http://bandainamcoen[...]
[58]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紘瀬玲名
[59]
웹사이트
PlayStation/エースコンバット3-エレクトロスフィア-
https://www.bandaina[...]
2024-05-02
[60]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フィオナ・フィッツジェラルド
[61]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エーリッヒ・イェーガー
[62]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ガブリエル・W・クラークソン
[63]
서적
ナムコ公式ガイドブック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ナムコ
1999-05-27
[64]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ギルバート・パーク
[65]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アビサル・ディジョン
[66]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キース・ブライアン
[67]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ヨーコ・イノウエ
[68]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ナムコ
1999-09-17
[69]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ミッション36、ミッション開始前ムービー
[70]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ミッション45、ミッション開始前ムービー
[71]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アルデア・ナシメント
[72]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ミッション11、ミッション開始前ムービー
[73]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ミッション14、ミッション開始前ムービー
[74]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シンシア・フィッツジェラルド
[75]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オープニングアニメーション
[76]
문서
『エースコンバット3』、検索エンジン、サイモン・コーエン
[77]
웹사이트
“FRONTLINE” 2012年4月号 特集:廃棄される巨大潜水艦
https://ace7.acecomb[...]
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2019-11-25
[78]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ナムコ
1999-09-17
[79]
웹사이트
「考えるだけ」でロボットアームを自在に操る女性がステルス戦闘機F-35を飛ばすことにも成功
https://gigazine.net[...]
2021-01-24
[80]
웹사이트
脳の信号で飛行機の操縦に成功──わたしは「考える」だけでシアトル上空を旋回した
https://wired.jp/201[...]
2021-01-24
[81]
웹사이트
脳波で3機の航空機と通信して操縦が可能な技術が実現、まさに「ファンネル」の実現まであと少しか
https://gigazine.net[...]
2021-01-24
[82]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ナムコ
1999-09-17
[83]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ナムコ
1999-09-17
[84]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ナムコ
1999-09-17
[85]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ナムコ
1999-09-17
[86]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バンダイナムコ엔터테인먼트|ナムコ
1999-09-17
[87]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バンダイナムコ엔터테인먼트|ナムコ
1999-09-17
[88]
서적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ミッション&ワールドビュウ
バンダイナム코엔터테인먼트|ナムコ
1999-09-17
[89]
웹인용
エースコンバット3 エレクトロスフィア (PS)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20-03-18
[90]
웹인용
Ace Combat 3: Electrosphere Review
http://www.gamepro.c[...]
2000-03-22
[91]
웹인용
Ace Combat 3: Electrosphere Review
https://www.gamespot[...]
CBS Interactive
1999-06-22
[92]
웹인용
Ace Combat 3
https://web.archive.[...]
2000-03-13
[93]
웹인용
Test : Ace Combat 3
http://www.jeuxvideo[...]
2000-03-22
[94]
잡지
Finals
Imagine Media
2000-04
[95]
웹인용
Ace Combat 3: Electrosphere
https://archive.org/[...]
2000-02
[96]
웹인용
Ace Combat 3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